BIO TREND SUMMIT 2026
2025. 9. 9 - 10 |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옴니버스파크 L층
Connected by Biotherapeutics
2026 바이오 트렌드 서밋은 바이오의약품 및 세포·유전자 치료제 분야의 글로벌 트렌드와 기술을 소개하는 자리로, 도전적인 바이오 치료제 시장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귀사의 파이프라인을 성공으로 이끄는 데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올해의 테마는 연결, 공감, 경청을 통해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로, 바이오 트렌드 서밋에 대한 귀하의 기대와 의견을 직접 듣고 반영하였습니다.
본 행사는 이틀 간 진행됩니다. 9월 9일은 Bioprocess Summit으로, 항체, 단백질과 같은 전통적인 바이오의약품을 주제로, 9월 10일은 Genomic Medicine Summit으로, 세포 치료제, 바이러스 벡터, mRNA, 지질나노입자(LNP) 등 첨단바이오의약품을 주제로 다룹니다.
자세한 아젠다는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며, 원하는 서밋 날짜에 맞춰 참가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본 행사는 참석 확정 안내 메일을 받은 고객님에 한하여 참석이 가능합니다.
※ 행사장 주변 혼잡이 예상되오니,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현장 내 한정된 좌석으로 인해 참가 신청자를 선별하여 9월 초 참석 확정 안내 메일을 보내드릴 예정입니다.
※ 되도록 많은 분들과 함께하는 행사를 위해, 부득이 한 소속 당 10분 이하로 참석이 제한될 수 있는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 본 행사는 무료로 진행되며, 점심 식사, 다과 및 기념품이 제공됩니다.
※ Cytiva는 청탁금지법을 준수하며 적용 대상자분들께는 규정에 따른 별도의 식사가 제공될 예정이니 사전에 말씀 부탁 드립니다.
행사 개요
Program Agenda
9월 9일: Bioprocess Tech Summit
10:00 - 10:10
Introduction
Opening Remark
최준호 대표, Commercial General Manager, Cytiva Korea
10:10 - 10:50
Market Trend
2026 바이오의약품 제조 기술 트렌드: 진화하는 mAb 공정에 답하다
Henrik Ihre, PhD., Next Generation Resins and Technologies Business Leader, Cytiva
바이오의약품 물질의 빠른 발전 속도에 맞춰,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공정 모두에서 경쟁력 있는 제조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바이오 공정 기술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Protein A 레진은 지난 20년간 생산성과 경제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플랫폼형 항체 정제 공정의 핵심으로 자리해왔지만, 최근에는 표준 Protein A 레진으로는 정제할 수 없는 항체 단편이나, 임상용 소규모 제조부터 대규모 상업 제조까지 각 단계에 따라 맞춤형 솔루션이 필요한 경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니즈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Protein A 레진 2종과 고용량 및 고알칼리 안정성을 가진 신규 레진을 소개하며, 높은 pH에서 용출이 가능해 응집체 형성을 방지하는 장점을 강조할 예정입니다.
Henrik 박사는 23년 이상의 바이오의약품 정제 분야 전문 지식 및 배경을 바탕으로 차세대 크로마토그래피 레진 및 기술 분야 비즈니스 리더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1998년 Royal Academy of Engineering(KTH)에서 합성 유기 고분자 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대학원 과정을 마친 후 미국 캘리포니아의 UC Berkeley에서 Post Doc 졸업생으로 2년간 세포 독소의 개선된 약물 전달 시스템을 연구하였습니다.
10:50 - 11:30
Downstream Process
ADC 다운스트림 제조 공정 전략
Lena Jonsson, PhD., Product Strategy Manager, Cytiva
최초의 항체-약물 접합체 (ADC)는 2001년에 FDA 승인을 받았으며, 현재까지 총 13개의 ADC 치료제가 승인되었습니다. 최근 몇 년간 다양한 단계의 ADC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초기 단계 ADC를 중심으로 한 기업 간 거래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분야는 새로운 기술은 아니지만, 다양한 암 치료에 대한 향상된 접근이 요구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ADC의 핵심인 payload는 일반적으로 small molecule의 화학적 합성을 통해 제조되며, 이후 고순도의 단일 클론 항체(mAb), 항체 단편(Fab) 또는 이중특이항체(bsAb)와 결합됩니다. 결합 반응 이전의 항체 순도는 치료제의 특이성을 좌우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며, 이는 Cytiva가 오랜 경험을 보유한 영역입니다. 결합 반응 이후의 정제 과정 역시 최종 의약품 품질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크로마토그래피와 TFF 공정 등 여러 단계를 포함하며 이는 Cytiva의 핵심 다운스트림 공정 기술 중 하나입니다.
Jonsson Lena님은 현재 Cytiva에서 바이오의약품 정제 분야의 하드웨어 포트폴리오, 특히 large-scale 크로마토그래피 및 필터에 대한 제품 전략 매니저로 재직 중에 있습니다. Galderma에서 6년간 전략 마케팅을 수행하였고, Cytiva에서는 신약 개발부터 제품 전략 마케팅에 이르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습니다.
11:30 - 12:10
Upstream Process
세포 배양 공정 스케일업 전략: 공정 개발에서 대량 생산까지
Andreas Castan, PhD., Strategic Technology Leader, Cytiva
효율적인 바이오리액터 스케일업 전략은 초기 개발부터 상업 제조까지 일관된 공정성과 성능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본 발표에서는 스케일업과 스케일다운의 핵심 원칙을 소개하고, 개발 기간 단축, 비용 절감, 공정 이해도 향상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다룹니다.
XDR, ReadyToProcess WAVE, Ambr 250, 그리고 최신 Xcellerex X-platform 등 다양한 바이오리액터를 예로 들며, 각기 다른 시스템에 맞는 스케일 기준 설정법과 적용법을 설명합니다. 또한 디지털 시뮬레이션 도구를 활용한 빠른 시나리오 분석 및 예측 모델링 사례도 공유하여, 플랫폼 전환이나 공정 최적화 시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Andreas Castan님은 25년 이상 바이오텍 산업에서 활동해온 전문가로, 현재 Cytiva의 바이오프로세스 사업부에서 리더십과 기술 지원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논문, 서적 챕터, 학회 발표, 웨비나 및 인터뷰 등을 통해 심도 있는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Cytiva에 합류하기 전에는 Swedish Orphan Biovitrum에서 업스트림 공정 개발 디렉터로 재직하며, 미생물 및 동물 세포 기반의 발현 시스템 개발과 공정 개발, GMP 스케일업 등을 수행했습니다. 프로젝트 관리, 조직 운영, 제조 등 바이오의약품 개발 전반에서 다양한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스웨덴 스톡홀름의 KTH(왕립기술원)에서 생화학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12:10 - 13:10
점심 식사
13:10 - 13:50
Upstream Process
세포배양배지의 품질 변동성을 줄이는 새로운 방법
Christopher Woolstenhulme, PhD., Chemistry & Raw Materials Team Senior Leader, Cytiva
특정 세포배양배지 Lot가 유독 더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이유, 무엇 때문일까요? 이번 세션에서는 그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 배지 성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원료의 중요성을 다룹니다. 특히, 미량 금속(Trace metal)과 같은 불순물이 야기할 수 있는 리스크를 집중적으로 다루며, 원료 공급 및 품질 관리의 최신 트렌드가 향후 세포배양 공정에 미칠 영향을 살펴봅니다. 세포배양 공정의 일관성과 품질 확보에 관심 있는 분들께 추천하는 강연입니다.
Woolstenhulme 박사는 몬태나 대학교에서 화학 학사와 생체분자 구조 및 역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브리검영 대학교에서 생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뒤, 존스홉킨스 의과대학에서 박사후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현재 Cytiva에서 5년째 근무 중이며, Chemistry and Raw Materials 팀의 수석 리더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13:50 - 14:30
Ananlysis
SPR 기반 분석 기술을 활용한 항체 및 Small Molecule 개발 전략 비교
Tomoya Mitani, Discovery Sales and Field Application Specialist Leader, Cytiva Japan
1990년 처음 출시된 Biacore™ 시스템은 항체-항원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도구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항체 치료제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스크리닝부터 품질 관리까지 폭넓게 활용되어 왔습니다. 반면, small molecule과의 상호작용 분석은 항체 대비 약 10년 후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초기에는 SPR 기반으로 small molecule를 감지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인식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small molecule 분석 전용 시스템이 도입된 이후 이러한 인식은 크게 바뀌었고, 현재 Biacore™는 항체뿐 아니라 small molecule 신약 개발에서도 실시간, 비표지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필수 도구로 자리잡았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최신 사례를 통해 항체와 small molecule 분석 시 Biacore™의 공통적인 장점과 차별점을 소개합니다.
Tomoya님은 일본의 Field Application Team 매니저로서, Cytiva의 단백질 연구 제품군(ÄKTA, Biacore, Imager)을 고객 워크플로에 맞춰 가치 중심의 솔루션으로 제공하며 기술 지원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제약회사에서 커리어를 시작한 후, 2002년 Biacore K.K.에 애플리케이션 스페셜리스트로 합류했으며, 이후 줄곧 Biacore 분야에 몸담아 다양한 고객과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해 왔습니다. 또한, 분자 상호작용 분석 관련 생물물리학 분야에서 다수의 논문을 저술한 바 있습니다.
14:30 - 15:10
Filtration
GMP 생산 현장에서의 PUPSIT 적용과 규제 고려사항
Ruth de la Fuente, Senior Product Manager, Cytiva
EU 및 PIC/S GMP Annex 1 개정으로, 필터 멸균 직후 사용 전 무결성 시험(PUPSIT)이 오염 제어 전략(CCS)의 핵심 요소로 명시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실제 공정에 PUPSIT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리스크 기반의 접근이 필요하며, 적절한 여과 조건 설정과 시스템 설계가 필수입니다.
본 발표에서는 Annex 1의 주요 변경사항과 이를 기반으로 한 CCS 수립 과정, 그리고 무결성 시험 절차, 여과막 습윤, 제품 회수 등 실무적인 고려사항들을 다룹니다. 또한, 단일 또는 이중 멸균 여과 시스템 내에서 PUPSIT을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실제 구현 사례와 함께, 보다 간편한 적용을 위한 신규 여과 시스템 2종도 소개합니다.
Ruth님은 바이오프로세스 분야에서 20년 경력을 가진 다방면의 전문가입니다. 배치 및 연속 공정을 위한 공정 개발과 장비 설계, 기술 이전 및 상업 생산 시설 설계까지 폭넓은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스페인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에서 화학공학 석사 학위를, 네덜란드 로테르담 경영대학(RSM)에서 Executive MBA를 취득했습니다. 현재는 Senior Product Manager로 재직 중이며, 고객의 공정 집약화 전략과 신기술 도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15:10 - 16:10
티 브레이크
15:30 - 15:30
Filtration
소규모 GMP 제조를 혁신하는 최신 TFF 솔루션
Jenny Fåhraeus, Senior Product Manager, Cytiva
Tangential Flow Filtration(TFF)은 고농축·고순도 분리 공정이 중요한 고도화된 바이오의약품 개발과 생산에서 핵심적인 단계입니다. Cytiva는 2017년 첫 single-use TFF 시스템을 출시한 이후, 다양한 규모로 플랫폼을 확장해 왔습니다. 최근 출시된 ÄKTA readyflux™ TFF system 500은 소규모 GMP 제조를 지원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직관적인 UNICORN™ 소프트웨어와 함께 공정 개발부터 대규모 생산까지 매끄러운 스케일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고객 중심의 혁신과 유연한 확장성에 기반해, Cytiva가 어떻게 소규모 GMP 제조의 미래를 열어가고 있는지를 소개합니다.
Jenny님은 Cytiva의 Single-Use TFF 포트폴리오를 총괄하는 Senior Product Manager로, 제품 포트폴리오 개발과 성과 관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화학 제조 분야에서 10년 이상 공정 스케일업 및 스케일다운을 주도했으며, 2016년부터는 상업 부문으로 커리어를 전환해 지난 5년간 제품 매니저로서 지속적인 혁신을 이끌어 왔습니다.
16:10 - 16:50
Regulatory
미국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핵심 규제 트렌드와 FDA 규제 전망
Ang, Wei Xia, PhD., Senior Regulatory Compliance Lead, Cytiva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점점 더 복잡하고 혁신적인 방향으로 발전함에 따라, 각국 규제 요건에 대한 이해와 대응 전략은 제품 개발과 상업화를 위한 핵심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미국 내 주요 규제 트렌드와 함께, FDA와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신속 승인 제도를 활용해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시장 진입을 앞당길 수 있는 방법을 다룹니다. 또한, 기존 MFDS 승인 자료를 FDA 제출에 활용하는 방안과, 허가 이후 CMC 변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생산 스케일업, 글로벌 진출, 공급 안정성을 확보하는 전략도 함께 소개합니다.
Wei Xia, Ang 박사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에서 생명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Cytiva에서 Senior Regulatory Compliance Lead로 근무하며 규제 준수 관리와 고객 대상 규제 컨설팅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국제 학회에서 초청 연사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싱가포르 보건과학청(HSA)에서 의약품 심사관으로 근무하며 화학의약품, 바이오의약품,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의 임상시험 및 품목 허가 신청 심사를 수행하고,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과학·규제 자문을 제공했습니다. 또한 임상단계 바이오텍 기업에서 글로벌 규제 전략과 허가 신청을 총괄했고, 싱가포르 과학기술연구청(A*STAR)에서 줄기세포, 암, 면역치료 분야 연구를 수행하며 10편 이상의 논문과 특허를 남겼습니다.
16:50 - 17:30
Donwstream Process
크로마토그래피 공정 개발의 디지털 전환: In silico, Mechanistic Modeling
Lena Enghauser, GoSilico™ Software Senior Product Manager, Cytiva
최근 바이오의약품 공정 업계에서는 in silico 기반의 크로마토그래피 공정 개발, 특히 기계적 모델링(mechanistic modeling)에 대한 관심과 도입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실제 산업 사례들을 통해, GoSilico™와 같은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면 공정 개발 속도를 높이는 동시에 공정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이 입증되고 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다양한 molecule 및 공정 단계별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in silico 도구 활용 시의 이점과 도전 과제를 함께 살펴봅니다.
Lena Enghauser님은 독일 Karlsruhe 공과대학(KIT)에서 바이오엔지니어링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Cytiva에서 GoSilico 크로마토그래피 모델링 소프트웨어의 시니어 프로덕트 매니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지난 5년간 Cytiva에서 글로벌 바이오제약 기업들과 협업하며 다양한 바이오물질과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공정을 대상으로 in silico 모델링과 실험 기반 기술을 결합한 공정 개발을 수행해왔습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기술이 학계와 산업계 전반에 걸쳐 빠르고 효과적인 공정 개발을 가능케 하는 핵심 도구가 되어야 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현재는 고객 중심의 소프트웨어 제공을 넘어, in silico 도구가 바이오의약품 공정 개발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혁신적인 업무 방식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9월 10일: Genomic Medicine Summit
10:00 - 10:10
Introduction
Opening Remark
김희재 상무, Head of Discovery & Genomic Medicine, Cytiva Korea
10:10 - 10:50
Market Trend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진화를 이끄는 혁신과 글로벌 트렌드
Peiqing Zhang, PhD., Genomic Medicine Scientific Director, Cytiva
유전체 의학은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바탕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본 발표에서는 그 핵심 동력인 혁신의 필요성과 주요 트렌드를 다룹니다. 특히, 유전체 치료의 미래를 열어갈 세 가지 핵심 요소 - 정밀한 전달 시스템, 인공지능(AI), 그리고 in vivo 기반의 차세대 기술을 중심으로 소개합니다.
정확한 조직 전달을 위한 벡터 및 전달체 기술은 유전체 치료 성공의 핵심이며, 나노기술, viral/non-viral 전달 방식의 발전이 이를 가능케 하고 있습니다. 또한, AI는 방대한 유전체 데이터를 빠르게 분석하고 일부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치료 정밀도와 개발 속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CRISPR 기반 유전자 편집과 실시간 이미징 기술 등 고도화된 in vivo 응용 기술은 실제 생체 내 유전자 조작을 가능하게 하며, 윤리성과 효과성을 모두 고려한 치료 접근을 가능하게 합니다.
Peiqing Zhang님은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제품 및 공정 개발 가속화에 열정을 가진 전문가입니다. 현재 Cytiva에서 Scientific Director로 재직 중이며, 아시아 전역의 유전체 치료 분야에서 기술 혁신 프로그램과 파트너십을 이끌고 있습니다. 18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한 그는, A*STAR, Novartis 등 학계, 바이오 스타트업, 글로벌 제약사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공정 개발, 제품 분석 플랫폼 구축, 신약 개발 프로그램에 기여해 왔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GMP 기반의 효율적인 제조 플랫폼을 개발하고, Cytiva 고객 및 산업계에 전략적 자문과 과학적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1년 Cytiva에 합류했으며, 현재 ISPE(국제제약공학회) 싱가포르 지부 회장이자, APAC ATMP(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 커뮤니티 리더로도 활발히 활동 중입니다.
10:50 - 11:30
mRNA
차세대 치료제 혁신을 여는 mRNA: 연구부터 상용화까지의 통합 솔루션
Andrew Low, PhD., Genomic Medicine Field Application Specialist Leader, Cytiva APAC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mRNA는 차세대 치료제로 급부상했으며, 암, 희귀 유전질환, 재생의학, 개인 맞춤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가능성이 계속 확장되고 있습니다. Cytiva는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연구 초기 단계부터 임상 생산까지 빠르게 전환할 수 있도록 돕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벤치탑 규모에서도 GMP 생산을 지원할 수 있는 ReadyToProcess WAVE 25 효소 마이크로 리액터 키트, ÄKTA readyflux TFF system 500 등을 포함한 최신 장비들을 소개합니다. 또한,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공정 전체를 아우르는 파일럿 및 생산 규모의 솔루션도 함께 제시하여, mRNA 치료제 개발 전 과정에서 실질적인 지원이 가능한 Cytiva의 역량을 공유합니다.
Andrew Low 박사는 15년 이상의 치료제 개발 및 제조 경험을 보유한 과학자이자 업계 리더로, 특히 바이오의약품 및 첨단치료제(ATMP)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종양학 및 감염질환 분야에서 12년 이상 혁신적인 R& 프로젝트를 이끌었으며, 세포 배양 배지 70종 이상과 영양 공급제 40종 이상을 개발하며 공정 개발(PD) 및 스케일업 전 과정에서 탁월한 성과를 보여 왔습니다. 현재는 Danaher-Cytiva의 APAC 지역 FAS(Field Application Specialist) 팀을 이끌며, 유전자 치료제, 세포 치료제, 핵산 치료제, 나노의약품 분야에 걸쳐 end-to-end 기술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상업, 연구개발, 품질, 제품 관리, 제조 부서와의 협업은 물론, 국제 학회에서 발표자 및 패널리스트로도 활약하며 업계의 thought leader로서 인정받고 있습니다. Thermo Fisher Scientific와 CSL Ltd에서의 리더십 경험을 통해 단백질 및 항체 기반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정에서 다양한 혁신을 주도했으며, 호주 머독대학교(Murdoch University)에서 박사 및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Walter and Eliza Hall 의학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암 및 감염 질환을 연구했습니다. 그의 연구는 다수의 특허와 국제 학술지에 발표되었습니다.
11:30 - 12:10
Viral Vector
바이러스 벡터 제조 공정 솔루션: 업스트림부터 다운스트림까지
최승훈 차장, Genomic Medicine Field Application Specialist Lead, Cytiva APAC
이번 발표에서는 현재 아데노 연관 바이러스(AAV) 제조에 사용되는 부착/부유 세포 배양 기반의 대표적인 공정 흐름을 소개합니다. 업스트림부터 다운스트림 공정까지 각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Cytiva의 기술과 솔루션, 현장 경험, 그리고 공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설명합니다. 또한 부착/부유 세포 배양 플랫폼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AAV 생산을 위한 Cytiva의 혁신적인 Elevecta 세포주에 대해서도 함께 다룰 예정입니다.
최승훈 님은 배양 공정에 대한 폭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Cytiva 에서 APAC 지역의 Genomic Medicine Field Application Specialist Lead 를 맡고 있습니다. 그는 University of Texas, Austin 에서 생명의료공학 학사를 취득하고, 이후 Cornell University에서 생명 의료 공학에서 석사를 취득하였습니다. 그는 이전에 강스템바이오텍에서 줄기세포 배양 공정 개발을 담당하였으며, 이후 Pall Korea에서 Bioreactor Application Scientist로 근무했습니다.
12:10 - 13:20
점심 식사
13:20 - 14:00
Regulatory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의 CMC 과제 대응 방안
Ang, Wei Xia, PhD., Senior Regulatory Compliance Lead, Cytiva
mRNA와 유전자 변형 세포 치료제는 다양한 질환에 대한 획기적인 치료 가능성을 열고 있지만, 품질, 안전성,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CMC(화학, 제조, 품질관리) 측면의 복잡한 과제들이 동반됩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고품질 mRNA 합성, 정제, 안정적인 전달체 설계와 같은 mRNA 생산의 주요 이슈뿐 아니라, 세포치료제 제조 시 겪는 생산 규모 확장, 세포 생존력 유지, 일관된 품질 확보 등 다양한 기술적 도전 과제를 다룹니다. 또한, FDA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승인·비승인 사례를 통해 CMC 문제 해결 전략을 공유하며, 기술적·규제적·운영적 관점에서 이 분야를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Wei Xia, Ang 박사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에서 생명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Cytiva에서 Senior Regulatory Compliance Lead로 재직 중입니다. 규제 준수 업무를 총괄하며, 고객을 대상으로 규제 자문 및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제 학회에서 자주 초청 연사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싱가포르 보건과학청(HSA)에서 의약품 심사관으로 근무하며, 화학의약품, 바이오의약품, 세포·유전자 치료제 등의 임상시험 및 허가 심사를 담당했습니다. 또한, 임상단계 바이오텍 기업에서 글로벌 규제 전략 및 허가 신청을 주도했고, A*STAR에서는 줄기세포, 암, 면역치료 관련 연구를 수행하며 10편 이상의 논문과 특허를 발표했습니다.
14:00 - 14:40
Case sharing
기업 인사이트: 세포 배양의 재해석, 부착·부유 배양 기술의 혁신적 진보
Mandy French, Strategic Advisor, CellFiber
세포 치료제는 높은 생산 복잡성과 원가 부담으로 인해 접근성이 제한되는 현실적인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배치당 생산 용량 확대 및 공정 스케일업 전략을 중심으로 효율성과 경제성 향상 방안을 다룹니다. 특히, 차세대 기술인 CellFiber를 소개하며, 이 기술이 세포치료제 생산 효율을 혁신적으로 개선하고, 더 많은 환자에게 생명 구호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Mandy님은 글로벌 바이오텍 산업에서 15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한 전문가로, APAC 본사의 창립 멤버로서 초기 스타트업 단계의 Sepax 시스템을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업계 리더로 성장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기술적 전문성과 상업적 감각을 연결해 세포치료제 제조 솔루션을 이끄는 데 능숙하며, 현재 CellFiber의 전략 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운영 최적화와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를 통해 급변하는 산업 환경 속에서 회사의 미션 달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4:40 - 15:00
티 브레이크
15:00 - 15:40
Cell therapy & LNP
유전자 변형 세포치료제 개발을 앞당기는 LNP 기술과 통합 공정
강지현 차장, PhD., Genomic Medicine Cell Therapy Field Application Specialist Leader, Cytiva APAC
오상민 차장, PhD., Genomic Medicine Field Application Specialist, Cytiva Korea
차세대 정밀의학의 핵심으로 떠오른 유전자 변형 세포치료제는 유전자 전달 기술의 발전과 함께 치료 효과와 제조 효율 모두에서 큰 도약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Cytiva의 GenVoy™ 리피드를 기반으로 한 LNP(지질나노입자, Lipid Nanoparticle)가 기존 electroporation 방식 대비 더 높은 세포 생존율, 유전자 편집 효율, 공정 단순화를 제공하며 non-viral 유전자 전달 방식을 혁신하고 있는 사례를 공유합니다.
LNP는 T세포 및 조혈모세포(HSC) 편집에서도 뛰어난 효과를 보이며, 독성은 낮고 확장성은 높다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Xuri™ W25 cell Expansion 시스템과 Sefia™ platform과 같은 Cytiva의 통합 솔루션은 대규모 유전자 변형 세포 치료제 생산을 위한 밀폐형, 확장형 공정 워크플로를 가능하게 합니다. 실제 사례를 통해 연구 단계부터 임상 적용까지 LNP 기반 기술의 통합 방안을 소개하고, 유전자 편집 기술의 현재와 미래 트렌드에 대한 인사이트도 함께 제시할 예정입니다.
15:40 - 16:20
pDNA
pDNA 생산 공정 최적화 및 스케일업
김도윤 전무, PhD., Fast Trak™ Leader, Cytiva APAC
Cytiva의 공정 개발 서비스 팀은 pDNA 생산을 위한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공정을 개발하였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1L 벤치탑 발효기에서의 실험 설계(DoE)부터, Xcellerex™ XDR-50 다목적 바이오리액터를 활용한 30L 규모 스케일업 사례를 소개합니다. 또한, 세포 용해(lysis),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단계를 포함한 정제 공정도 함께 다룰 예정입니다.
김도윤 박사는 20여 년 전 미생물 발효 실험을 시작으로 바이오공정 개발 현장에서 새로운 기술을 주저 없이 경험하며 경력을 쌓아왔습니다. 이후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정 개발 분야에서 사업개발 및 현장 기술 지원 업무로 전환하며 전문성을 확장해왔습니다. 2016년부터 Cytiva에서 세포배양 공정 기술 리더(Cell Culture Process Science Leader)로서 한국, 일본, 대만, 동남아시아 및 호주 고객에게 세포배양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기술 컨설팅을 제공해왔으며, 2021년부터는 APAC Fast Trak Leader로 임명되어 인천 송도에 위치한 Fast Trak Center를 중심으로 공정 개발, 컨설팅, 교육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고객 맞춤형 기술 지원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그는 2012년 GE Healthcare에 합류하여 HyClone 제품군의 한국 및 ASEAN 지역 Field Application Manager로 활동했으며, 그 이전에는 싱가포르 Bioprocessing Technology Institute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습니다. 김도윤 박사는 KAIST에서 화학 및 생물분자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박사후 과정을 마쳤습니다.
참가 신청하기
지난 바이오 트렌드 서밋 강연 다시보기
Privacy policy | Terms | Trademarks | Legal | Contact
© 2025Cytiva